의왕시 소개

무궁한 성장잠재력이 있어 희망이 있는 도시, 누구나 살고 싶어하는 도시, 청계산과 백운호수가 어우러진 환경친화적인 도시로 경기도에서도 손꼽히는 아름다운 전원도시입니다.

- 의왕시 소개

· 1895년 광주목에서 광주군으로 개칭
· 1914년 광주군 의곡면과 왕륜면을 통합, 수원군 의왕면으로 변경
   왕륜면(旺倫面)
   내왕륜(內旺倫), 오마동(五馬洞), 오주동(全朱洞), 내곡동(藤谷洞), 평사천(坪沙川), 통산동(通山洞), 곡사천(谷沙川), 고정동(古井洞), 고고리(古古里), 내곡동(內谷洞),
   징계동(澄溪洞), 교동(校洞), 가동(柯洞), 묘동(墓洞), 신촌(新村), 궁촌(宮村), 창촌(倉村), 신기촌(新基村), 괴동(槐洞), 상장의(上莊義), 하장의(下莊義
   의곡동(儀谷面)
   학현동(鶴峴洞), 의일외동(義逸外洞), 의일내동(義逸內洞), 손동(蓀洞), 포일동(浦一洞), 포이동(浦二洞), 상청계동(上淸溪洞), 하청계동(下淸溪洞)

참고

월암리와 초평리는 안산군(安山郡)의 월곡동(月谷面)에 속하였으며, 지명은 월암리(月岩里)와 상초평(上草坪)과 하초평(下草坪)이었다.
1912년 현재 안산군(安山郡) 월곡면(月谷面) 월암리(月岩里)에는 월암동(月岩洞), 일이동(一里洞), 대대동(大垈洞)이 있었다. 초평리(草坪里)는 상초평과 하초평이 있었다.

· 1915년 현재 의왕면 행정구역
   학의리(鶴儀里 : 학현동, 의일외동), 포일리(浦一里 : 포일동, 포이동, 갈산동), 내손리(內蓀里 : 갈산동, 손동, 의일내동), 청계리(淸溪里 : 상청계동, 하청계동),
   오전리(五全里 : 오마동, 전주동, 등곡동), 이리(二里 : 창촌, 징계동, 교동, 가동, 묘동, 신촌, 궁촌, 신기촌), 왕곡리(旺谷里 : 내왕륜, 곡사천, 통산동), 삼리(三里 : 상장의, 하장의, 괴동),
   고천리(古川里 : 고정동, 평사천, 고고리, 내곡리)
· 1924년 현재 의왕면 행정구역
   왕곡리(旺谷里), 오전리(五全里), 고천리(古川里), 이리(二里), 삼리(三里), 학의리(鶴儀里), 내손리(內蓀里), 포일리(浦一里), 청계리(淸溪里)

참고

초평리(草坪里)와 월암리(月岩里)는 수원군(水原郡) 반월면(半月面)에 속함

· 1936년 수원군 일형면(日荊面)과 의왕면을 합하여 일왕면(日旺面)으로 개칭
· 1949년 화성군(華城郡) 일왕면으로 변경
· 1963년 시흥군(始興郡) 의왕면(儀旺面)으로 변경
· 1980년 시흥군 의왕읍(儀旺邑)으로 승격
· 1983년 초평리와 월암리가 시흥군 의왕읍으로 편입, 의왕읍 동부출장소 설치
· 1989년 의왕시(儀旺市)로 승격
· 1993년 시청소재지 변경
· 2003년 12월 행정동고천동(고천동, 왕곡동) 부곡동(이동, 삼동, 월암동, 초평동) 오전동(오전동) 내손1동(내손1동) 내손2동(내손2동, 포일동) 청계동(학의동, 청계동)
· 2007년 의왕시 한자명칭 변경 (儀旺市義王市, 법률제8244호) 

- 의왕시

의왕시는 경기도 중서부에 있으며
면적은 53,986㎢(경기도의 0.5%)
인구 15만 6,763명(2016년 12월)의 아담한 전원도시이다.

시의 경계는 6개 시군과 접하고 있어, 동쪽은 성남시 용인시, 서쪽으로 안양시 군포시, 남쪽으로는 수원시 안산시, 북쪽으로는 과천시와 접하고 있으며, 시청소재지는 고천동에 있다.
의왕시는 인구밀집 지역인 아파트나 주택지역이 청계산 줄기의 백운산과 모락산, 오봉산으로 이어지는 산 자락에 휘돌아 감겨있어 공기가 맑고 깨끗하며, 사람이 살기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다.
산은 청계산, 백운산(567m), 바라산(428m), 모락산(385m), 오봉산(205m)으로 이어져, 작고 아담한 산들로 이우러져 사람들이 즐겨 찾을 수 있는 좋은 여건을 가지고 있다. 안양천(安養川)과 학의천(鶴儀川) 청계천 학현천(鶴峴川) 등이 있고, 백운호수와 왕송호수 등은 관광휴양지로서 유명하다.

대표적인 문화유산으로는 모락산에는 세종의 넷째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의 묘와 사당이 있으며,청계산에는 고려 충신인 조견이 송동를 바라보면서 애통해 했다는 망경대(望京臺)가 있다.
또한 조선후기 대표적인 가문인 왕곡동(旺谷洞) 청풍김씨(淸風金氏) 재실에는 검재 김유 선생영정(경기도 유형문화재 117, 현재 경기도박물관 위탁)이 있고, 청계사에는 청계사소장목판(淸溪寺所藏木板, 경기도 유형문화재 135)이 있으며, 청계산에서 백운호수에 이르는 길은 과천 서울대공원과 연결되는 전국순례자연경관도보로서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