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왕단오축제
단오는 음력 5월 5일로 설날 추석과 함께 3대 명절 중의 하나로 1년 중에서 가장 양기가 왕성한 날이라고 해서 큰 명절로 여겨왔고 여러 가지 행사가 전국적으로 행해져 아이들과 할 수 있는 풍속이 많은 명절이기도 하다.
단오는 중국 초나라 회왕 때 충신이었던 굴원이라는 신하가 간신들의 모함에 자신의 지조를 보이기 위해서 멱라수에 뛰어들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후에 굴원을 기리는 제사가 시작되었는데 그날이 5월 5일 있었다. 이것이 우리나라에 전해져 단오가 되었는데, 조선 정조 때 쓴『열양세시기』에는 이 날 밥을 수뢰(물의 여울)에 던져 굴원을 제사지내는 풍속이 있으므로 '수릿날'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단오는 본격적인 무더위가 닥치기 전 초여름의 계절이며, 모내기를 끝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기풍제이기도 하다. 단오 행사는 북쪽 지방일수록 번성했는데, 남쪽 지방에서는 대신 추석을 성대하게 보냈다. 단옷날에는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 새 옷으로 갈아 입고 즐겁게 노는 날로 되어 왔다. 단오가 되면 우리 조상들은 수리취를 넣어 둥글게 절편을 만들어 먹었고, 여름의 질병과 더위에 대처하기 휘하여 쑥과 익모초를 뜯어 약으로 썼다. 아낙네들은 창포물로 머리를 감고 비녀를 삼아 꽂은 채 고운 한복을 바람에 날리며 그네를 뛰었다. 또 남자들은 씨름으로 자웅을 겨루며 하루를 즐겼고, 궁중에서는 임금이 직접 신하들에게 단오선이라는 부채를 나누어주면서 성큼 다가 선 여름에 대비하기도 했다. 귀한 집에서는 앵두화채와 앵두편과 증편을 제사 지내고, 손님에게도 대접하였다. 단오의 '단'자는 처음이라는 뜻이며, '오'자는 다섯 오자와 발음이 같으므로, 단오라 하면 초닷새라는 뜻이 되기 때문에 5월 5일의 이 명절을 단오라고 부르게 된 것 같다.
바쁜 농사철이지만, 단오 때는 일손을 놓고 들녘에 나가 씨름판을 벌이며 즐거운 하루를 보냈다. 남자들은 씨름을 통해 자신의 힘이나 기량을 뽐냈다. 이 날 으뜸을 차지한 사람은 대개 황소를 한 마리 상으로 타게 된다. 씨름은 두 사람이 마주 꿇어 앉아 손으로는 상대편의 오른쪽 다리를 잡아 서로 준비가 되면 심판을 맡은 사람의 구령에 따라 동시에 일어나 겨루게 된다.
서로 들고, 걸고, 다리를 안으로 또는 밖으로 감고 잡아 두르고, 일어나는 등 여러 가지로 싸우는데 들어던져서 먼저 꺼꾸러뜨리는 이가 이기게 된다. 씨름에는 '왼씨름', '오른씨름', '띠씨름' 등의 세가지가 있다. 왼씨름은 오른쪽 다리에 샅바를 걸고 고개와 어깨를 왼쪽으로 돌리고 하는 씨름이며, 오른씨름은 샅바를 왼쪽다리에 걸고 오른쪽 어깨에 대고 하는 씨름이다. 또, 띠씨름은 허리에다 띠를 매어 그것을 잡고 하는 씨름이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하는 씨름은 왼씨름이다.
씨름이라는 말은 고려가 원나라와 통한 이후부터 옛 책에 나와 있다. 단오절 이외에도 가장 재미있는 놀이로서 매우 성대하게 벌인다. 이때 상으로는 황소나 광목 같은 생활 필수품을 주는 일이 많다.
그네는 동구 밖에서 탔기 때문에 남녀유별이 엄격했던 전통 사회에서 여인들이 비교적 자유롭게 집밖으로 나와 아름다운 계절과 자연을 즐길 수 있었다.
<춘향전>에서도 성춘향과 이도령이 만나는 날이 바로 단오인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곳에 따라서는 그네뛰기 경연대회도 열린다. 그네를 잘뛰는 사람은 앞으로 오를 때 그네를 맨 나뭇가지에서 앞으로 나뭇잎을 따기도 한다. 그리고 두 사람이 마주 타고 뛰기도 하는데, 이것을 '쌍그네'라고 한다. 그네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로 이야기 되고 있는데, 그 하나는 우리 나라 강원도 강릉지방에 학문과 무술을 잘하는 선비가 있었는데, 여름이 되면 모기와 파리가 사람을 괴롭게 하므로, 이를 견디다 못해 그가 생각해 낸 것이 그네 였다는 것이다. 이것이 그네의 처음이였는데 이날이 5월 5일이였다고 한다. 단옷날은 이처럼 여자들이 하룻동안 그네를 뛰며 즐겁게 노는데, 단옷날 이튿날이 되면 동네 어른들이 나와서 그넷줄을 낫으로 잘라 버린다. 모처럼 매어 놓은 그넷줄을 이렇게 끊어 버리는 것은 그네를 너무 오래 놓아두면, 그네뛰기에 정신이 팔려 농사일에 지장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양기가 강한 단오 오시에 익모초와 쑥을 뜯어서 약으로 썼다. 오시는 11시에서 12시를 말한다. 익모초는 여름에 식욕이 떨어질 때 즙으로 먹으면 식욕을 왕성하게 하고 몸을 보호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쑥을 뜯어서 떡을 하기도 하고 또 창포탕에 함께 넣어 삶기도 하는데, 귀신을 막는 효과가 있다.
농가에서는 약쑥을 뜯어 말렸다가 홰를 만들어 들에서 일을 할 때에 불을 붙여놓고 담뱃불을 당기는데 사용하였다. 이때의 약쑥홰는 약쑥 대여섯 개를 한 묶음으로 짚으로 칭칭 감아 연이어 길이를 2미터쯤되게 만들면, 긴 것은 불을 붙이면 하루종일 타게 된다.
또 농가에서는 오시를 기해서 뜯은 약쑥을 한 다발로 묶어서 대문 옆에 세워두는 일이 있는데, 이는 재액을 물리치고 귀신을 물리치는데 효험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수리취를 넣어 둥글게 절편을 만들어 먹었다. 혹자는 수레바퀴 모양으로 찍어낸다고 수리치떡이라 부르기도 했다. 수리취 대신 쑥을 넣기도 한다.
처음 따는 앵두를 이용해 화채를 하는데, 여름음식의 시작을 알린다.
궁중에서는 단오날이 되면 내의원에서 옥추단과 제호탕을 만들어 임금에게 바쳤다. 제호탕은 사인 오매육 초과 백단향 등 한약재를 가루내어 꿀에 섞어 달인 일종의 청량제로, 더위가 심하여 건강을 해치기 쉬울 때 사용하였다.
일시 | 장소 | |
1회 | 2000년 6월 5일 | 고천체육공원, 문화복지회관 |
2회 | 2001년 6월 25일(음력 5월 5일) | 전주 남이마을 느티나무 밑 |
3회 | 2002년 6월 15일(음력 5월 5일) 10:00~15:00 | 고천체육공원 |
4회 | 2003년 6월 4일(음력 5월 5일) 10:00~15:30 | 고천체육공원 |
5회 | 2004년 6월 27일(일) 09:30~18:30 | 고천체육공원 |
6회 | 2005년 6월 11일(토) 09:30~19:00 | 고천체육공원 |
7회 | 2008년 5월 31일(토) 09:30~19:00 | 고천체육공원 |
8회 | 2009년 5월 23일(토) 09:30~19:00 |
고천체육공원 |
9회 | 2011년 5월 28일(토) 09:30~19:00 |
고천체육공원 |
10회 | 2012년 6월 23일(토) 09:30~19:00 |
고천체육공원 |
11회 | 2013년 6월 8일(토) 09:30~19:00 |
고천체육공원 |
12회 | 2012년 6월 23일(토) 09:30~17:00 |
고천체육공원 |
13회 | 2013년 6월 8일(토) 09:30~17:00 |
고천체육공원 |
14회 | 2016년 6월 4일(토) 09:30~16:00 |
고천체육공원 |
15회 | 2017년 5월 27일(토) 09:30~16:00 |
고천체육공원 |
16회 |
2018년 6월 16일(토) 09:30~16:00 |
고천체육공원 |
17회 |
2019년 6월 1일(토) 09:30~16:00 |
고천체육공원 |
- |
2020년 코로나-19 감염증으로 취소 |
- |
18회 |
2021년 6월 7일(월) ~ 6월 11일(금) 단오 체험 꾸러미 배부 |
- |
19회 |
2022년 6월 11일 10:00 ~ 16:00 | 고천실내체육관 및 농구장 |
20회 |
2023년 6월 10일 10:30 ~ 17:30 | 고천체육공원 |